1. source tree 를 사용하여 협업을 하려면 함께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공유해야 한다. 자신이 개발한 프로젝트를 gitlab에 올리거나 다른사람이 개발한 소스코드를 자신의 pc에 가져오거나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 svn을 사용해본 사용자라면 commit, check out 의 개념을 알고 있을것이다. source tree는 이보다 좀더 확장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몇가지 기본 개념을 이해하면 source tree를 이용하여 gitlab에 소스코드를 올리거나 다운을 받는 일을 쉽게 할수 있다.
1) stage
- source tree는 state라는 개념이 있다. 중간단계 정도라고 이해하면 좋겟다. 사용자의 pc에서 개발된 소스코드를 gitlab 원격 저장소에 등록하기전에 가상의 공간을 거쳐 간다 정도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것이다. 그래서 아래그림을 보면 개발완료된 소스를 버튼(Stage All)하나로 stage에 올릴수 있다.
2) commit
- svn 을 사용해본 사용자라면 잘알고 있을것이다. 개념은 동일한데 svn은 commit 을 하면 서버에 저장이 되는데, source tree에서 commit은 업로드 완료가 아니다. 변경이력을 기록해 둔다 정도로 이해하는게 좋을꺼 같다. 내가 개발한내용이 이전코드에서 추가/수정된 부분이 어느부분이고 변경 시간을 언제인지같은 이력이 기록된다.
3) push
- 내 pc에서 변경된 내용을 gitlab 원격저장소에 올리는 기능이다. 푸쉬를 클릭하면 commit 된 소스코드를 최종적으로 원격저장소에 올릴수 있는데 push 위에 표시되는 숫자는 Commit 된 수이며 이때가 원격저장소에 올릴소스가 있다는 의미로 이해하면된다.
2. 소스코드 업데이트
소스코드에 변경이 생기면 pull 아이콘위에 숫자가 표시된다.이때 pull 을 클릭하면 자신의 pc에 최신 소스코드를 업데이트 할수있다. pull 위에 표시되는 숫자는 Commit 된 수이며 이때가 업데이트 받을 소스가 있다는 의미로 이해하면된다.
'source t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urce tree 설치 & 저장소 생성하기 (0) | 2017.01.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