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 ftp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etc/vsftpd.conf 파일을  vi로 오픈한다.

2. 아래 그림의 에서 write_enable=YES 부분 & local_umask=022 부분이 주석으로 되있는데 이부분의 주석을 해제한다.



3. 아래 그림의 에서 빨간박스부분을 추가한다.



4. ftp demon service를 시작한다.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영어가 깨질때 설정 방법  (0) 2017.06.19
호스트 이름 변경방법  (0) 2017.06.19
ssh 설정  (0) 2017.06.19
vi로 파일에 기록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을때 조치방법  (0) 2017.06.07
vi editor 사용법 2  (0) 2017.06.07

table에서 query 수행시 특정조건에 해당하는 내용만 가져와야 할때가 있다. 

sql 조건문 중에 when, then 을 사용할수 있으면 문법은 아래와 같다.



select * from [table name]

where

 CASE 

 WHEN compare_value1(ex: #{test_field}=1)

 THEN NewLiteral (ex: test_field=#{test_field})

 WHEN compare_value2

     THEN result2

 ELSE 

 result3 

 END

1. 설치서버 os : ubuntu-16.04.1-server


2. jenkins 설치 command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실행방법  (0) 2017.06.07

mysql 을 설치하고 원격접속 하기 위해서는 user id 가 필요하다. mysql에서는 user를 추가 할수 있고 권한을 줄수가 있다.


1. user 추가




2.  추가된 유저에 권한 주기



'mariadb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환경설정 파일 위치  (0) 2017.06.20
mysql 설치방법  (0) 2017.06.19
mariadb 원격 접속 설정  (0) 2017.02.24
database character set 확인하기  (0) 2017.02.03
spring boot 에 설정방법  (0) 2017.01.12

mysql 설정을 위해서는 cnf 파일을 vi로 open 하고 필요한 항목을 수정한다.



1. mysql version

 



2. mysql 5.7.18 에서 cnf 파일 위치



'mariadb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user 추가 & 권한주기  (0) 2017.06.20
mysql 설치방법  (0) 2017.06.19
mariadb 원격 접속 설정  (0) 2017.02.24
database character set 확인하기  (0) 2017.02.03
spring boot 에 설정방법  (0) 2017.01.12

1. mysql  설치여부 확인



2. mysql 설치




'mariadb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user 추가 & 권한주기  (0) 2017.06.20
mysql 환경설정 파일 위치  (0) 2017.06.20
mariadb 원격 접속 설정  (0) 2017.02.24
database character set 확인하기  (0) 2017.02.03
spring boot 에 설정방법  (0) 2017.01.12

ubuntu 에서 apt-get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파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다이아몬드 글자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영어가 나와야 하는데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다음 설정으로 글자 깨짐 현상을 수정할수 있다.


root@user:~$ apt-get ~~~~


    



설정방법


root@user:~$ vi /etc/default/locale


   LANG="en_US.UTF-8"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설정법  (0) 2018.08.08
호스트 이름 변경방법  (0) 2017.06.19
ssh 설정  (0) 2017.06.19
vi로 파일에 기록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을때 조치방법  (0) 2017.06.07
vi editor 사용법 2  (0) 2017.06.07

root@user:~$ 에서 user 이름을 변경 할때 아래 파일에 접근하여 호스트 이름을 수정한다.


 root@user:~$  vi /etc/hostname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설정법  (0) 2018.08.08
ubuntu 영어가 깨질때 설정 방법  (0) 2017.06.19
ssh 설정  (0) 2017.06.19
vi로 파일에 기록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을때 조치방법  (0) 2017.06.07
vi editor 사용법 2  (0) 2017.06.07

서버를 관리할때 원격으로 접속하여 작업을 하기위해 아래와 같은 설정을 해야 한다.


1. ssh 설치

@user:~$ sudo apt-get install ssh


2. ssh 재시작

 @user:~$ /etc/init.d/ssh restart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영어가 깨질때 설정 방법  (0) 2017.06.19
호스트 이름 변경방법  (0) 2017.06.19
vi로 파일에 기록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을때 조치방법  (0) 2017.06.07
vi editor 사용법 2  (0) 2017.06.07
vi 사용법  (0) 2017.02.03

Md5 는 해쉬함수로 평문(plain text)을 입력하면 128bit(32글자) 고정크기로 암호화 해주는 해쉬 알고리즘으로 이론적으로는 복호화 될 수 없다. 그러나 Md5 자체의 수학적 오류로 이 약점을 이용해서 복호화가 가능하다고 인터넷에 나오는데 실제로 확인은 못해보았지만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무조건 32글자로 암호화 되기 때문에  1byte는 절대로 만들 수 없다.  아래는 md5 해쉬코드 암호화를 android studio 에서 구현해본 source code 이다.



 



public static String getEncMD5(String message) throws Exception {

    MessageDigest digest = MessageDigest.getInstance("MD5");

    byte[] hashedBytes = digest.digest(message.getBytes("UTF-8"));



    return convertByteArrayToHexString(hashedBytes);

}



private static String convertByteArrayToHexString(byte[] arrayBytes) {

    StringBuffer stringBuffer = new StringBuffer();

    for (int i = 0; i < arrayBytes.length; i++) {

        stringBuffer.append(Integer.toString((arrayBytes[i] & 0xff) + 0x100, 16)

                .substring(1));

    }

    return stringBuffer.toString();

}

 

 

 // test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try {


    String md5 = SMUtils.getEncMD5("md5tech");


    Log.d("test", "[onCreate:md5    >>>>>   "    +md5);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result

06-14 16:47:54.345 21621-21621/com.juntcompany.practice1bluetooth D/test: [onCreate:md5    >>>>>   be201ff78925af48b1d386feb7c3e964


Ø  결과값 글자세보면 32글자 나옴












+ Recent posts